안녕하세요. 예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 예술옹호론자 이지현입니다.
저는 예술의 가치를 옹호합니다. 사람과 세상에 대해 탐구하고, 그것을 예술의 언어로 바꾸려는 수많은 시도를 응원합니다. 세상을 움직이는 가장 강력한 힘이 예술에 있다고 믿습니다. I am an advocate of the value that art provides. I support all attempts that try to explore this world and people, and trying to convert the discoveries into the language of art. I believe that the most powerful force that moves this world is created by art.
*밑줄있는 문장을 클릭하시면, 관련 링크로 이동합니다
*
표시를 클릭하면 추가 정보가 나열됩니다
예술의 가치를 옹호합니다
미국에는 ‘예술 옹호의 날 Arts Advocacy Day’이 있습니다. 미국의 시민 단체인 '미국인을 위한 예술(Americans for the Arts, AFTA)'이 예술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만든 행사인데요. 여기에서 저를 수식하는 용어 '예술옹호론자'를 발견했습니다. 전시를 기획하고, 축제를 만들고, 강연을 하고, 교육을 하고,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것 모두 예술의 가치를 옹호하기 위한 저의 운동이자 실천이라 믿고 있습니다.
There is an Arts Advocacy Day in the United States which was first created by an NGO named Americans for the Arts (AFTA) in order to promote to the value of art. I first learned about the term “art advocate” from this event. I believe that all my activities including planning exhibitions, directing festivals, conducting lectures, providing art education, and working at an art startup, are all part of advocating and spreading the value of art.
•
•
•
예술단체 멤버십 가입하기
•
아트컬렉팅을 하기
•
예술에 기부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
•
•
예술옹호의 날 만들기
•
•
•
•
예술 콘텐츠 스타트업 ‘널위한문화예술’
2018년도부터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예술의 이야기를 널리 알려왔고, 현재는 통합 100만 명이 넘는 유저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동대표로 함께하고 있으며 널위한문화예술에는 널 위한 문화예술 & 예술의 이유 & 사적인 컬렉션 채널이 있습니다. 저희 팀과의 협업 문의는 business@artculture4u.kr 으로 보내주세요.
•
Founder&CEO 대우님과의 인터뷰 : 널위한문화예술이 ‘문화예술’로 돈 버는 방법
•
[유튜브 공식 블로그] #유튜브로성장해요: 널 위한 문화예술
•
•
[KBS 다큐멘터리] <온라인미디어 예술>
•
[서울잡스] 진심을 담은 화학작용, PM의 길
동시대 작가들과의 프로젝트
•
•
2024 부천아트페어를 총괄 디렉터로서 활동했습니다
•
•
•
•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워크숍 기획/진행
<성장하고 싶은 교육인을 위한 교육 트렌드> 기사 클릭
•
•
100명의 감독이 참여한 2020 각자의 비엔날레
•
•
2024 대구화랑협회 Diaf 운영위원회 및 부스 기획 참여
이외 아트프로젝트 (
를 클릭하면 정보가 뜹니다)
저를 담아주신 매체들
•
Is art really useful for our life? | Jihyeon Lee | TEDxHongikU
•
경제지 리더피아 인터뷰 이지현 '널 위한 문화예술' COO "예술을 옹호하며 살겠습니다” (클릭)
•
•
[그로스쿨] MZ세대는 미술을 즐기는 방식이 다르다!?
•
스타트업으로 출근합니다 (인터뷰어 참여)
•
나의 첫 사이드 프로젝트 (인터뷰어 참여)
•
•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아르텐 인터뷰
•
[모티노] 나는 문화예술계에 맞는 사람일까?
•
요리와 예술을 결합한 브랜드 마벨메종 인터뷰
•
일에 대한 고민을 나누는 플레이라이프 인터뷰
600명과 함께한 예술경영스터디
학부에서 경영학, 회화를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을 공부했습니다. 예술경영학은 예술의 가치가 제도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연구를 하는 학문입니다. 이 학문을 동료들과 더 진지하게 공부하며 사고의 폭을 넓히고 싶어 예술경영스터디를 만들었습니다. 2017년도에 시작한 스터디는 현재 누적 600명이 넘는 수료생을 배출했습니다. 또한 줌줍이라는 예술경영 커뮤니티를 만들어 약 1만 명의 예술경영인들과 교류 중입니다.
▼ 예술경영대학원 재학 당시 인터뷰
•
[예술경영웹진] 예술경영 전공하면 뭐 하고 살지?
•
[ㅍㅍㅅㅅ] 대학생이 등록금 아까워 저지른 일
▼ 예술경영스터디와 커뮤니티는 이렇게 운영되고 있어요!
여러 매체에 연재물을 쓰고 있습니다
•
•
단문 콘텐츠 추천 플랫폼 핔 FIGK의 콘텐츠 큐레이터로 참여 중입니다.
•
한화 라이프플러스에 해외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예스24의 새로운 서비스 ‘아티오피’에서 전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를 클릭하면 정보가 뜹니다)
예술경영웹진 미술시장리포트 연재물(
를 클릭하면 정보가 뜹니다)
경제 미디어 어피티에서 <위클리 도슨트> 연재물(
를 클릭하면 정보가 뜹니다)
•
저자로 참여한 출판물(
를 클릭하면 정보가 뜹니다)
개인 인스타그램에서 광고 콘텐츠를 만들었어요(
를 클릭하면 정보가 뜹니다)
다양한 기관에서 강연을 했습니다
•
•
•
•
•
서울시립미술관 도슨트 실습교육/SeMA 도슨트 세미나 진행
•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브랜드로서 예술가되기
•
오금고등학교 예술은 쓸모가 있을까?
•
2023화랑미술제 강연 내인생 첫 컬렉팅을 위한 미술시장 가이드
•
•
•
•
예스24 아티피오 미술시장의 새로운 변화들
•
•
•
•
•
•
•
•
•
세종문화회관 영 아티스트포럼 앤 패스티벌
•
그 외 이런 곳에서 강연을 했습니다. (
를 누르면 목록이 뜹니다)
2024년 기획물 10가지 정리/분석